-
신입사원 결재 용어, 품의·상신·재가 뜻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직장에 첫발을 내디딘 신입사원 여러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처음 회사 생활을 시작하면 업무보다 더 어려운 것이 바로 ‘낯선 회사 용어’일 때가 많습니다.
특히 품의, 상신, 재가 같은 결재 관련 용어는 매일 듣게 되지만, 처음엔 그 뜻과 차이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죠.오늘은 신입사원 결재 용어 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6가지,
품의, 상신, 재가, 반려, 보완, 전결의 뜻과 차이를 쉽게 설명드릴게요.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결재 프로세스가 한결 명확해질 거예요!
1. 품의란? – 신입사원이 가장 먼저 접하는 결재의 시작!
품의는 회사에서 어떤 안건이나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담당자가 상사에게 의견을 서면으로 작성해 올리는 과정입니다.쉽게 말해,
“이런 일을 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라고 상사의 허락을 구하는 단계라고 보면 됩니다.예를 들어,
새로운 거래처와 계약을 체결하고 싶을 때,
우선 품의서를 작성해 상사에게 보고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핵심 정리: 품의서 = “이 일 추진해도 괜찮을까요?”라는 제안서
2. 상신이란? – 품의서를 결재 라인에 올리는 과정
상신은 품의서를 포함한 보고서나 안건 등을
결재 라인에 따라 상급자에게 올려 승인 절차를 밟는 것을 뜻합니다.품의서를 작성했다면,
이를 상신하여 팀장, 부서장, 임원 등 결재권자에게 순차적으로 결재를 받는 것이죠.예를 들어,
품의서를 작성한 뒤 팀장님께 상신해 결재 진행을 시작합니다.👉 핵심 정리: 상신 = “품의서 제출하고 결재 받으러 올립니다!”
3. 재가란? – 최종 승인, 드디어 허락받다!
재가는 최종 결재권자가 해당 안건에 대해 승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품의서가 상신된 후, 여러 단계를 거쳐 마지막 상급자가 최종적으로 허락(재가)하면
비로소 그 일을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예를 들어,
부서장님이 재가를 내려주시면, 그제야 계약 체결 업무를 시작할 수 있는 겁니다.👉 핵심 정리: 재가 = “최종 결재 OK! 일 시작해도 됩니다!”
4. 반려란? – 결재 거절, 다시 작성해서 가져오세요!
반려는 상신한 품의서나 안건이 승인되지 않고 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내용이 부족하거나 수정이 필요할 때 발생하죠.예를 들어,
팀장님이 “이 부분 부족하니까 다시 써서 가져와”라며 품의서를 반려하셨다면,
해당 부분을 고쳐서 다시 상신하면 됩니다.👉 핵심 정리: 반려 = “NO! 다시 써서 가져오세요!”
5. 보완이란? – 조금만 더 추가해서 다시 올려주세요!
보완은 반려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반려가 “다시 써서 가져오라”는 의미라면,
보완은 “조금만 더 추가해서 가져오세요”라는 뉘앙스에 가깝습니다.예를 들어,
팀장님이 “자료 하나만 더 붙여서 다시 올려줘”라고 하면, 보완 지시를 하신 겁니다.👉 핵심 정리: 보완 = “내용 조금만 더 보태서 다시 가져오세요!”
6. 전결이란? – 팀장님 선에서 바로 OK!
전결은 일정 기준 이하의 안건이나 단순한 사항에 대해
최고결재권자가 아닌 중간관리자(팀장 등)가 최종 승인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예를 들어,
소액 결제 건이나 단순 구매 같은 경우,
팀장님이 전결로 바로 처리해주실 때가 있습니다.👉 핵심 정리: 전결 = “팀장님 선에서 바로 OK!”
신입사원 결재 용어 제대로 알면 업무 효율 쑥쑥!
지금까지 신입사원 결재 용어로 자주 쓰이는
품의, 상신, 재가, 반려, 보완, 전결의 뜻과 차이를 설명드렸습니다.이 용어들은 앞으로 회사에서 매일 듣게 될 만큼 중요한 표현이에요.
처음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씩 사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테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결재 과정과 용어를 제대로 알면,
문서 작성 실수도 줄고 상사와의 소통도 훨씬 매끄러워집니다.신입사원 여러분,
오늘도 힘내서 회사 생활 멋지게 시작해보세요!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나요?
다음과 같은 포스팅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5.02.11 - [일상정보] - 기각 뜻 완벽 정리! 기각과 각하는 뭐가 다를까?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태료 범칙금 벌금 차이, 운전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상식 (0) 2025.02.19 양주의 종류와 특징 – 술자리에서 아는 척하기 좋은 양주 상식! (0) 2025.02.17 기각 뜻 완벽 정리! 기각과 각하는 뭐가 다를까? (0) 2025.02.11 고수레 뜻과 돼지열병 관련 주의사항 (1) 2025.01.24 택배 용어 셔틀도착과 셔틀발송 (0) 2025.01.14